[이데일리 마켓in 이건엄 기자] 자국 우선주의에서 촉발된 글로벌 불확실성이 점차 확산 되고 있는 가운데 투자자들이 아시아, 특히 중동지역을 유심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제언이 나왔다.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는 중동에 대한 투자가 불확실성에 대한 해답이 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중동 주식시장 상장을 통한 유의미한 투자 성과 창출 가능성에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 왼쪽부터 김영일 이화자산운용 이사와 카림 엘 솔 컬프캐피탈 대표, 이반 그를리치 스파크랩 사우디 공동창립자&매니징 파트너, 살레 알 하마디 사우디 알아사 상공회의소 수석고문이 29일 서울 중구 더 플라자 서울에서 이데일리·KG제로인 주최로 열린 ‘2025 글로벌 대체투자 컨퍼런스’에서 ‘오일머니-걸프지역 펀드와 어떻게 협력할 것인가’란 주제로 토론을 하고 있다.(사진=방인권 기자) |
|
카림 엘 솔 걸프캐피탈 대표는 29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에서 열린 글로벌 대체투자 컨퍼런스(GAIC) 2025 ‘오일머니·걸프지역 펀드와 어떻게 협력할 것인가’ 세션 패널토론에서 “많은 글로벌 투자자들이 아시아 시장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며 “특히 중동 지역의 성장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고 밝혔다.
카림 엘 솔 걸프캐피탈 대표는 중동의 투자 매력도가 높은 이유로 활발한 주식시장을 꼽았다. 풍부한 오일머니를 기반으로 산업 다변화에 적극 나서고 있는 만큼 다양한 분야에서 기업공개(IPO)가 이뤄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그는 “중동 주식시장은 최근 자부심을 가질 만큼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며 “유럽보다 IPO가 더 많이 일어났고, 재생에너지, 부동산, 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장이 활발히 이뤄지며 중동 경제의 건강함을 그대로 나타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반 그를리치 스파크랩 사우디 공동창립자&매니징 파트너는 “중동 거래소는 스타트업 엑시트의 새로운 기회”라며 “아부다비나 리야드의 거래소는 일목요연한 상장 프로세스를 갖추고 있고, 유동성도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 왼쪽부터 김영일 이화자산운용 이사와 카림 엘 솔 컬프캐피탈 대표, 이반 그를리치 스파크랩 사우디 공동창립자&매니징 파트너, 살레 알 하마디 사우디 알아사 상공회의소 수석고문이 29일 서울 중구 더 플라자 서울에서 이데일리·KG제로인 주최로 열린 ‘2025 글로벌 대체투자 컨퍼런스’에서 ‘오일머니-걸프지역 펀드와 어떻게 협력할 것인가’란 주제로 토론을 하고 있다.(사진=방인권 기자) |
|
이날 토론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한국을 비롯한 글로벌 기업들의 중동 IPO 시장 진출 필요성을 강조했다. 미국이나 유럽에 비해 신속한 상장 절차, 높은 밸류에이션, 전략적 투자자 유치 기회 등 중동 시장만의 장점이 많다는 설명이다.
이반 그를리치 파트너는 “LP 입장에서 조언드리자면, 여러분의 포트폴리오 기업이 중동 진출 전략을 갖추고 있는지, 그리고 실제 엑시트가 가능한 구조인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며 “매력적이지 않은 환경에서 억지로 엑시트를 추진하기보다는 중동 상장을 전략적으로 고려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한국 기업들의 중동 진출에 대해 현지에서도 큰 기대를 보이고 있다는 점도 언급됐다. 아랍상공회의소에서도 이를 감지하고 한국 기업과 현지 정부, 기업 간의 연결을 주도하며 공동 프로젝트 발굴과 제도적 지원에 적극 나서고 있다는 설명이다.
살레 알 하마디 사우디 알아사 상공회의소 수석 고문은 “아랍 상공회의소는 잘 알려지지 않은 한국 기업들을 사우디아라비아에 소개하고 공동사업을 연결하는 허브 역할을 하고 있다”며 “태양광 패널을 설치할 수 있는 한국 기업이 있다면 저희가 사우디의 수요처와 연결해 공동 프로젝트를 만들 수 있도록 돕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도 실리콘온 프로젝트 등 다양한 매치메이킹을 진행 중이며, 구체적인 기업명은 밝히기 어렵지만 이미 많은 협력이 시작되고 있다”며 “사우디에서는 의료 AI나 디지털 기술의 경우 특정 인증 없이는 활용할 수 없기 때문에 저희가 그 가이드를 제공하고 매칭까지 지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