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지영의 기자] 무려 세번째 기업공개(IPO)에 도전하는 케이뱅크가 본격적인 상장 주관사 선정 심사에 들어갔다. 국내 증권사 4곳과 외국계 1개사가 심사 대상에 올랐다. 케이뱅크에 대한 해외 투자 수요가 저조해 외국계 증권사들은 대체로 고개를 돌린 분위기다.
10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케이뱅크는 지난 9일부터 이날까지 2일간 상장 주관사 선발을 위한 경쟁 프레젠테이션(PT)을 진행했다. 이날 PT 심사를 마무리 한 뒤 재무적투자자(FI)들과의 논의를 거쳐 상장 주관사를 최종 선정할 예정이다.
이틀간 진행된 케이뱅크 주관사 선정 PT는 이전 주관사 선정시와 사뭇 다르게 한산한 분위기였던 것으로 보인다. 참여한 국내 대형 증권사는 NH투자증권과 KB증권, 삼성증권, 신한투자증권 4개사다. RFP(입찰제안요청서)를 받았던 증권사 중에서 미래에셋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은 케이뱅크의 경쟁사인 토스(비바리퍼블리카)의 대표 상장 주관사라는 점에서 사실상 선정 가능성이 낮아 입찰에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외국계의 참여가 눈에 띄게 저조했다. 외국계 증권사 중에서는 UBS증권 1개사만이 PT에 참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에 케이뱅크 IPO 진행 당시 뱅크오브아메리카(BOA) 메릴린치가 해외 수요를 거의 모으지 못했던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케이뱅크가 해외 투자자를 끌어 모을만한 매력이 있는 투자대상이 아니라는 평가가 일부 영향을 줬다는 평가다.
한 IB업계 관계자는 “한국 인터넷 은행에 대한 해외 투자 수요가 높지 않아 외국계 어느 곳을 고르듯 사실상 해외 자금 모으기는 쉽지 않을 듯하다”고 평가했다.
외국계가 UBS 1개사만 입찰한 상황을 감안하면 케이뱅크와 투자자 측이 이번 주관사단에 외국계를 포함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외국계 자금을 모을 목적으로 외국계 증권사를 주관사단에 붙였음에도 효과가 없었던 것을 뼈아프게 경험한 바 있어서다.
케이뱅크가 지난해에 고평가 논란 속에 투자금 모으기에 실패한만큼, 이번에는 상장 몸값을 소폭 낮출 가능성이 높다. 이번 입찰에 응한 증권사들 역시 전보다 낮은 수준의 몸값을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관건은 케이뱅크에 투자한 MBK파트너스와 베인캐피탈 등 FI들이 눈높이를 낮춰줄지 여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