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마켓in 송재민 기자]카카오벤처스가 미국 딥테크 스타트업 두 곳에 시드 투자를 단행하며 글로벌 테크 투자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투자 대상은 인공위성 개발 자동화 기술을 보유한 ‘올리고스페이스(Oligo Space)’와 다중 AI 에이전트 시스템을 개발 중인 ‘자폰(Tzafon)’이다. 두 회사 모두 이번 투자를 통해 첫 기관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올리고스페이스는 AI 기반 설계 자동화 및 2D 판금 제조 기술을 활용해 위성·발사체 설계 효율성을 극대화한 우주 스타트업이다. 기존 방식 대비 설계 시간은 3분의 1, 제조 비용은 약 5분의 1 수준으로 줄일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특히 MIT, NASA JPL, 스페이스X, 노스롭 그루먼 등에서 경력을 쌓은 인력들이 모여 있어 기술력과 팀 구성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이번 라운드에는 미국 스페이스테크 전문 투자사 럭스 캐피탈(Lux Capital)도 참여했다.
자폰은 다수의 AI 에이전트가 협업하는 복잡한 연산 환경을 위한 고성능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러스트(Rust) 기반의 안정성과 처리속도를 바탕으로, 다중 AI 운영환경에서 필요한 인프라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다. 자폰은 오픈AI, 테슬라, ARM 등 출신 시스템 전문가들이 참여하고 있으며, 현재 미국과 유럽 주요 투자사로부터 후속 투자 유치가 진행 중이다.
카카오벤처스는 2024년부터 글로벌 딥테크 및 선행기술 분야 투자를 핵심 전략으로 설정하고, 미국 현지 네트워크 확장에 주력해 왔다. 최근에는 반도체 FS2, 메드테크 컴파스, 로봇수술 마그넨도 등에도 신규 투자했으며, AI 투자 인텔리언스 플랫폼 링크알파, 로보틱스 스타트업 콘토로 등에 후속 투자를 진행한 바 있다.
신정호 카카오벤처스 수석 심사역은 “기술이 국경을 넘나들며 진화하는 시대, 좋은 팀을 찾기 위한 투자 역시 경계를 가리지 않는다”며 “카카오벤처스는 미국 탑티어 투자사와 꾸준히 네트워크를 쌓아가며 현지 팀 투자를 적극 진행하고, 국내 기반 글로벌 팀에도 투자를 이어 나가고 있다”고 전했다. 또 “앞으로도 투자 경계를 허물고 길을 만들어가는 투자사로서 초기 기술 투자 외연을 확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