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지방권 땅값 31년 만에 상승…버블붕괴 이후 처음
- 지방권 평균지가 버블 붕괴 영향 전 수준 삿포로·히로시마·후쿠오카 주택수요 증가 영향 메이지야긴자빌딩 18년 연속 기준지가 1위
- 등록 2023-09-19 오후 10:00:02
- 수정 2023-09-19 오후 10:00:02

[이코노미스트 마켓in 송재민 기자] 일본의 부동산 시장 오름세가 확산하면서 지방권 평균 기준지가도 31년만에 상승세를 기록했다.
19일 아사히신문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 보도에 따르면 국토교통성이 발표한 올해 7월 1일 현재 기준지가는 1년 전보다 1.0% 올라 2년 연속 상승세를 이었다. 특히 올해 조사에서는 도쿄·오사카·나고야 등 3대 도시권뿐만 아니라 지방권도 0.3% 상승했다.
기준지가는 국토교통성과 전국 지자체가 매년 7월초에 조사해 공표하는 기준 지점 2만여곳의 땅값으로, 민간의 토지 거래에서 기준 가격으로 활용된다.
이 조사에서 지방권 평균 지가가 상승세를 보인 것은 버블 붕괴의 영향이 본격화하기 전인 1992년 이후 31년 만이다.
다만 지방권 땅값 상승은 인구가 늘면서 주택수요가 증가한 삿포로와 센다이, 히로시마, 후쿠오카 등 일부 지역 위주로 이뤄졌다. 실제 지방권에서 지가가 상승한 곳은 30%가량이고 52%는 인구 감소 등의 영향으로 하락했다고 아사히신문은 전했다.
3대 도시권은 평균 지가 상승률이 작년 1.4%에서 올해 2.7%로 거의 2배 수준으로 높아졌고 용도별로는 상업지 4.0%, 주택지 2.2% 등의 오름세를 기록했다.
한편 이번에 기준지가가 1㎡당 4천10만엔으로 평가된 도쿄의 메이지야긴자빌딩 부지는 올해까지 18년 연속 일본내 전국 1위 기준지가 자리를 지켰다.
송일수 기자
song@
저작권자 ⓒ 이데일리-당사의 기사를 동의 없이 링크, 게재하거나 배포하실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