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올해 한국 성장률 1.5%로 유지…일본보다 낮아

  • 내년 2.1%로 전망 유지…6월과 동일 물가상승률 전망치도 변동 없어 세계 성장률 전망은 3%로 상향
  • 등록 2023-09-19 오후 7:22:09
  • 수정 2023-09-19 오후 7:22:09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올렸지만 한국 성장률 전망치는 1.5%로 유지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마켓in 송재민 기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올렸지만 한국 성장률 전망치는 1.5%로 유지했다. OECD는 긴축 영향 가시화, 기업 소비자심리 하락 등으로 내년 세계 경제성장은 다소 둔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19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OECD는 이런 내용의 중간 경제전망을 발표했다. 일본의 성장률 전망치는 큰 폭으로 상향 조정, 한국 성장률을 상회할 것으로 내다봤다. 

OECD는 매년 6월과 11월 회원국의 경제전망을, 3월과 9월에는 주요 20개국(G20) 중심의 중간 경제 전망을 발표한다. OECD는 한국의 올해 성장률을 2021년 12월에 2.7%로 전망한 뒤 ▲지난해 6월 2.5% ▲9월 2.2% ▲11월 1.8%  ▲올해 3월 1.6% ▲6월 1.5% 등으로 계속 하향 조정해왔다. 

OECD는 이날 한국의 내년 성장률도 6월과 같은 2.1%로 전망했다.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3.0%로 미국·일본·브라질의 양호한 상반기 성장세를 반영해 6월보다 0.3%포인트(p) 상향 조정했다. 특히 일본 성장률을 6월(1.3%)보다 0.5%p 높은 1.8%로 제시하면서 한국 성장률을 추월할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내년 세계 성장률은 2.7%로 0.2%p 낮춰잡았다. 긴축 영향 가시화, 기업·소비자 심리 악화, 중국의 더딘 경기 회복 등을 주요 원인을 꼽았다. 

G20의 올해와 내년 성장률은 각각 3.1%, 2.7%로 전망했다.

올해와 내년 한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은 3.4%, 2.6%로 역시 6월 전망치와 같았다.

OECD는 세계 경제의 하방 리스크로 소비 둔화, 강한 긴축 기조, 신흥시장 부진 등 글로벌 금리 인상의 역효과를 꼽았다.

석유 등 에너지 공급의 차질 가능성, 식량 가격 상승, 중국의 경기 둔화 가능성 등도 주요한 위험 요인으로 지목했다.

그러면서 각 국가에 인플레이션이 뚜렷하게 완화될 때까지 통화정책을 긴축적으로 운용하고 재정 여력을 확충할 것을 권고했다.

SRE 랭킹
※ 제33회 SRE 설문조사 결과입니다.
※ 제33회 SRE 설문조사 결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