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 재벌 빈탈랄, 우크라 전쟁 전후 러 기업에 대규모 투자

  • 러 침공 이틀전부터 한달간 러 기업 3곳에 5억弗 이상 투자 러 국영 가스프롬·로프네스트 및 민간 루코일 등 "사우디 정부 용인 있었을듯…투자가치는 서방제재로 급락"
  • 등록 2022-08-15 오후 2:24:58
  • 수정 2022-08-15 오후 2:24:58
[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알왈리드 빈 탈랄 사우디아라비아 왕자가 회장을 맡고 있는 킹덤 홀딩스가 우크라이나 전쟁 전후로 러시아 에너지 기업들에 대규모 투자한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억만장자 왕자 알왈리드 빈 탈랄. (사진AFP)


14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파이낸셜타임스(FT) 등에 따르면 킹덤 홀딩스는 이날 트위터를 통해 2020년 하반기부터 최근 3년 간의 투자내역을 공개했다. 그 결과 킹덤 홀딩스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2월 24일 전후로 러시아 에너지 기업 3곳에 약 5억달러(약 6530억원)를 투자한 것으로 확인됐다.

침공 이틀 전인 2월 22일 러시아 국영 가스기업 가스프롬에 3억 6400만달러(약 4754억원), 러시아 국영 석유기업 로스네프트 약 5200만달러(약 679억원)를 각각 투자했고, 2월 22일부터 3월 22일까지 러시아 민간석유기업 루코일에도 1억 900만달러(약 1423억원)를 투입했다.

빈 탈랄 왕자의 대(對)러시아 베팅은 지금까지만 보면 실패한 상황이다. 세 기업 모두 서방 제재 대상에 이름을 올리면서 투자가치가 급락했기 때문이다.

킹덤 홀딩스는 빈 탈랄 왕자가 1980년 설립한 투자회사로, 트위터, 포시즌 호텔, 유로디즈니 등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최근 3년 동안 러시아 기업 3곳 외에도 영국 연금·저축 회사 피닉스 그룹, 투자 운용사 M&G, 우버, 리프트, 알리바바, 블랙록 TCP 캐피털 등에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별도로 러시아 기업들에 대한 투자가 전쟁 발발 이후, 즉 서방의 제재 이후에도 진행됐다는 점을 감안하면 사우디 정부의 용인 또는 묵인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리더인 사우디는 비(非)OPEC 산유국 대표인 러시아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온 반면, 미국과는 조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달 사우디를 방문하기 전까지 대립해 왔다.

빈 탈랄 왕자는 현재 사우디의 실세인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가 2017년 부패 척결 명목으로 반대파 축출에 나섰을 때 휘말린 바 있다. 당시 빈 탈랄 왕자는 다른 왕자들, 전·현직 고위 관료 및 유명 사업가들과 체포돼 리야드 리츠칼튼 호텔에 구금됐다.

이후 합의금을 내고 석방된 것으로 알려졌으나 합의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다. 이와 관련, FT는 빈 살만 왕세자가 주도하는 사우디 국부펀드(PIF)가 지난 5월 킹덤홀딩스 지분 16.9%를 인수했다고 전했다. 빈 탈랄 왕자는 78.1%를 보유하고 있다.

SRE 랭킹
※ 제34회 SRE 설문조사 결과입니다.
※ 제34회 SRE 설문조사 결과입니다.